본문 바로가기
목공-LAND/DIY작업 TIP

[NaMu] 우드버닝

by NaMu 2021. 3. 29.
728x90
반응형

뭐~ 아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목재에 칠을 하는 것보다 우드버닝을 하면

목재가 더욱 고급스러워 보이며 색다른 멋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그만큼 안전에 유의하셔야 해요~ 아주 위험합니다.

특히 Electric wood burning은 자칫 골로 갈 수 있습니다.


우드버닝(Wood-burning)은 말 그대로

나무를 태워 작업하는 것으로

버닝펜, 토치, 전기를 이용하여 작업합니다.

먼저 버닝펜 인두기를 이용한 우드버닝을 볼게요~

제가 요금 눈독 들이고 있는 버닝펜 set입니다.

버닝펜을 검색하시면 펜팁이 철사로 되어 있는 게 있는데

그건 열이 계속 가해지면서 약해져서 잘 끊어진다 하더라고요.

저는 잘 썼긴 했지만 누가 그러더라고요...ㅎㅎ

버닝펜으로 작업하실 때는 우선 나무에 연필로 밑그림을 그리고

버닝펜을 이용하여 선을 따라서 태웁니다.

그림에 자신이 없으시면 먹지를 활용하여 나무에 그림을 베끼고

작업하셔도 됩니다.

아래는 전문가분이 버닝펜을 사용한 작품입니다.

버닝펜으로 그림 외에도 자신의 작품에 이니셜이나

싸인을 새기기도 하고

아니면 아예 불도장을 제작하여 나무에 찍기도 합니다.


다음은 토치를 이용한 작업입니다.

작업방법은 간단하나 화재의 위험이 있어 작업하실 때는

꼭 실외에서 하셔야 합니다.

불로 나무를 태워 작업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전통 장식기법이기도 한데요.

옛날에는 나무의 겉면을 인두나 불로 그을린 후 볏짚으로

문질러 작업했다고 하네요.

오동나무의 표면을 태워 작업하면 낙동법,

소나무의 표면을 태워 작업하면 낙송법이라 합니다.

작업 방법은 앞서 말씀드린 데로 간단합니다.

1. 먼저 목재를 준비하시고 실외에서

바람을 등지고 토치에 불을 붙인 다음

나무 표면에 불이 붙을 정도로 쭉~~ 태워줍니다.

2. 표면이 까맣게 그을렸으면 물을 뿌려가며

철브러쉬나 드릴브러쉬로 나무결방향으로 문질러 줍니다.

3. 어느 정도 원하는 무늬가 나왔으면

사포로 표면을 다듬어 주신 후 바니쉬와 같은 마감제로

마감 처리해주시면 됩니다.

경우에 따라 토치로 살짝살짝 그을려

작업하시는 분도 계시고

아래와 같이 바로 마감 처리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요렇게 태워서 작업한 나무를 따로 탄화목이라 부르는데요

변형이 적고 더 단단해진다고 하네요.


마지막으로 제일 위험한 Erectric 우드버닝입니다.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가 흐르면서 나무를 태우는

방식입니다.

우선 작품부터 보실까요?

겨울에 나뭇잎 다 떨어진 나무처럼 참 이쁩니다.^^

간단히 설명드리면

1. 먼저 목재의 표면에 전해질(물이나 소금물, 베이킹소다물)을 칠합니다.

(콜라를 사용하시는 분도 있어요~ ㅎㅎ)

태우고자 하는 부분에만 칠하시면 칠된 부분을 따라 태워져요.

2. 원하는 크기의 양 끝에 +, -극을 위치시킨 후

전기를 흘려주면 +극과 -극을 기준으로 상대 극 방향으로

아래 사진과 같이 탄화됩니다.

3. 원하는 모양이 나왔으면 전기를 차단하고

전선을 제거합니다.

4. 탄화된 목재에 물을 뿌려가며 철브러쉬나

드릴브러쉬로 문질러주시고 마감 처리합니다.

전기를 이용한 우드버닝은 고압의 전류를 사용합니다.

일상생활에 쓰는 220V도 감전되면 위험하죠?

Electric wood burning은 최소 2,000~10,000V입니다.

바로 황천행 기차를 타실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목공-LAND > DIY작업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Mu] 타원그리기  (1) 2021.04.06
[NaMu] Pinterest(핀터레스트) 사이트/어플 소개  (0) 2021.04.05
[NaMu] 우드밴딩  (1) 2021.03.29
[NaMu] 목가구 도면그리기  (1) 2021.03.28
[NaMu] 지그(JIG)  (0) 2021.03.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