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공-LAND/기본 상식

[NaMu] 원목 가공방법에 따른 분류

by NaMu 2021. 4. 8.
728x90
반응형

먼저 원목이 뭘까요?
사전적인 의미로는 "베어 낸 그대로 아직 가공하지 아니한 나무"라고
되어 있네요~
가구점에서 보면 원목가구라고 되어 있는 가구 보셨나요?
사전적 의미하고는 좀 차이가 있죠?
보통 목공방이나 가구점에서 보는 원목은
집성목까지 원목으로 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집성목부터 볼까요? 

1. 집성목

 

집성목은 원목 조각에 고주파를 이용하여 접착/가공한 형태의 목재를 말하는데요~
원목의 경우 크기가 한정적이라 원하는 크기의 목재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런 원목의 단점을 대체하기 위해 집성목을 만듭니다.
목공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목재예요~

<집성방식>
원목의 결합 형태에 따라 Solid, top finger joint, side finger joint,
butt joint, scarf joint 등으로 나뉘는데 사진으로
참고만 하세요~

 

좌 : Solid / 우 : Top finger joint

 

 

좌 : side finger joint / 우 : scarf joint

<집성목의 장,단점>
장점 :
1. 표면이 원목이기 때문에 원목의 결을 살려서 니스만 칠해도 된다.
2. 기본적인 표면 가공처리가 되어 있다.
3. 원목의 특성(나뭇결, 향, 색 등)을 유지할 수 있다.
단점:
1. 원목이기 때문에 목재의 수축, 팽창, 휨 등이 있다.
2. 집성이 흔적이 남아 있다.
3. 목재 재단에 따라 접합부분이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집성목 가구 제작 시 주의점>
집성목의 강도는 무늬결에 따라 길게 절단한 목재는
좁은 무늬결로 절단한 목재보다 10배 이상 튼튼하다는 것을 꼭 기억하시고요,
사포질이나 칠을 할 경우 나무결 방향으로 해야 합니다.

2.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원목의 톱밥, 자투리 등과 식물섬유, 각종 수지를 혼합하여 압축해서 만든 판재
도장, 가공이 용이한 편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크기, 두께 선택의 폭이 넓은게 장점이고
다른 목재에 비해 충격에 약하며 나사못의 유지력이 약하며
습기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네요.

3. 합판(Plywood)

원목을 얇게 깎아 원하는 두께만큼 여러층을 접착하여 만든 판재
무늬결을 엇갈리게 잡착하며 홀수로 접착하여 수축, 팽창, 뒤틀림이 적어
인테리어, 건축자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4. Particle Board

 

각종 원목 폐자재를 분쇄한 뒤 이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압축 성형한뒤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한 목재로
방음과 흡음 효과가 좋습니다.
오른쪽의 OSB(Oriented Strand Board) Particle boad는
최근 인테리어 용으로도 많이 사용하더군요.

5. Core

각목을 이어 붙인 뒤 양 표면에 합판을 붙은 목재로 튼튼합니다.

6. 무늬지/무늬목

MDF나 합판 등의 표면에 원목과 같은 분위기를 내기 위해 표면에 붙이는 것으로
합성수지에 나무결을 프린트한 것은 무늬지,
원목을 얇게 잘라낸 것은 무늬목이라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