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공-LAND/기본 상식

[NaMu] 목공 DIY에 필요한 전동공구-1

by NaMu 2021. 3. 27.
728x90
반응형

전동공구의 설명을 하기에 앞서서
전동공구는 목재를 가공하는데 있어서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구로
힘이 매우 강하고 그만큼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크다는 점
꼭!꼭!!꼭!!! 인지하시고 다루셔야 합니다.
자칫 신체의 한부위가 잘릴수도 있고
심하면 생명도 잃을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시고
전동공구를 다룰때는 조심 또 조심하세요~

1. 드릴 

드릴은 목공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공구입니다.
여러가지 작업을 할 수 있죠~
드릴은 전동드릴과 충전드릴이 있는데
전동 드릴은 충전드릴에 비해 출력량이 높아 뚫을 수 있는 재질이 많아요~
하지만 전선때문에 이동성이 떨어진다는게 단점이죠...
그렇다고 충전드릴은 안 좋나?
그건 아닙니다. 목공작업을 하는데 전혀 지장 없습니다.

처음 충전드릴을 구매할 때 가장 고민이 되는 것이 브랜드입니다. 
그럼 충전드릴은 어느 브랜드의 선호도가 높을까요?

뭐... 다 개개인의 차이는 있겠지만...
목공이나 건축업에 종사하시는 분들 보면 대부분이
보쉬, 마끼다 입니다. 가장 인지도가 높죠~
최근들어 디월트 브랜드도 자주 보이네요.
가격은 디월트가 좀 비싼편이고
보쉬랑 마끼다는 중저가로 비슷합니다.
저가 브랜드 중에 추천을 드리자면 
툴앤툴, 블랙앤데커가 가성비가 좋아요.

세 브랜드(보쉬, 마끼다, 디월트)의 성능 차이는 잘 모르겠네요...
제가 볼 때는 비슷합니다.ㅎㅎㅎ
목공이나 건축업에 종사하시는 분들 보면
보쉬쓰시는 분들은 보쉬 공구만 쓰시고
마끼다쓰시는 분들은 마끼다 공구만 쓰십니다.
이유는 손에 익숙한 공구를 써야 사고가 덜하기 때문이예요.
먼저 보쉬는 독일, 디월트는 미국 제품인데
서양인 손에 맞게 만들어져서 그런지 잡아보면 묵직합니다.
무게감도 있고요.
반면 마끼다는 일본제품으로
동양인 손에 맞게 만들어져서 손에 착~ 감기는 느낌이 있어요.
마끼다의 최대 장점은 밧데리가
마끼다 모든 충전공구가 호환이 되서
작업장에 나갈때 밧데리 하나만 챙기면 된다는 거예요.
요것때문에 마끼다를 선호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충전드릴 브랜드만 고르면 끝일까요?
드라이버드릴, 햄머드릴, 임팩트드릴 등이 있네요...
드라이버드릴은 일반적인 드릴이고요,
햄머드릴은 망치로 때리는 기능이 추가된 드릴입니다.
임팩트드릴, 흔히 임팩드릴이라고 하는데
나사를 좀 더 강하게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합니다.
주로 햄머드릴은 콘크리트 벽을 뚫을 때
임팩드릴은 철판에 나사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해요.
실제로 써보면 햄머드릴은 두드림이 더해져
일반 충전드릴보다 진동이 더 합니다.
임팩드릴은 회전력이 세기때문에 손목이 휙! 돌아가니 조심~
자칫 손목이나 팔꿈치, 어깨를 다칠수도 있어요. 
얼핏 보면 비슷하지만 드릴 머리부분의 다이얼을 보시면
구분하실 수 있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숫자 다이얼과
해머드릴/드릴/드라이버 다이얼이 보이는데
임팩드릴의 경우 다이얼 자체가 없거나
숫자 다이얼+드릴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고요
위에 보시는 사진은 해머드릴 사진입니다.
숫자 다이얼의 경우 드라이버를 선택할 경우 조절하는데요
나사를 조이는 힘의 세기를 조절합니다.
숫자가 클수록 힘이 세져요~
소프트우드 같은 경우 나사를 조이는 힘이 너무 세면 목재가
상할 수 있기 때문에 숫자를 조절하여 나사를 결합합니다.
드릴이나 해머드릴을 선택하면 숫자는 의미가 없어요~
걍 최대 출력으로 돕니다.
오른쪽 사진은 1단, 2단 기어입니다. 2단이 출력이 더 세요~
충전드릴은 아무리 임팩드릴이나 해머드릴이라고 해도
출력이 전동드릴 못 따라갑니다.
정말 큰 힘을 원하시면 전동드릴 쓰세요~ 

마지막으로 드릴비트 종류를 사진으로 보고
드릴 설명은 마무리 지을게요.

왼쪽 사진이 일반적인 드릴비트입니다.
가운데 위에 사진이 콘크리트 비트!
비트 끝부분을 자세히 보시면 뭉뚝하게
고강도 재질이 덧대어져 있습니다.
단단한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을 때
비트의 손상을 줄이고 뚫기 쉽게 하기 위함입니다. 
가운데 아래사진이 목공비트로 비트 끝부분이 뾰족합니다.
나무에 구멍을 뚫을 때 뾰족한 부분을 나무에 고정하고
드릴링을 하면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뚫을 수 있죠.
끝이 뾰족한 비트는 목재용으로만 사용하셔야 합니다.
오른쪽 사진은 나비기리라고 하는데 목재에 
기리의 숫자 크기로 구멍을 뚫을 때 사용합니다.
이왕 본거 하나만 더 볼까요?

이중기리입니다.
일반적으로 앞쪽에는 3mm 비트,
중간에는 8mm 비트가 이중으로 조립되어 있는데요
목재에 나사를 조이기 전에 나사길을 내어주어
나사를 조일때 목재가 쪼개지는 현상을 방지합니다.

사진처럼 나사 머리가 역삼각형 모양으로 된 나사의 경우
나사를 조일 때 나사머리가 목재를 벌리는 작용을해 그림과 같이
마구리면에서 목재가 갈라집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중기리로 길을 내주는 것이지요~
목재 갈라지는 것은 싫고 이중기리는 귀찮다하시면
 나사 머리부분에 접시머리와셔를 끼워 조립을 하거나
나사머리가 역삼각형이 아닌 직각으로 된 나사를 사용하면
조립되는 힘이 목재에 수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목재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허나, 나사부분의 목재가 뭉게져 따로 사포작업을
해주셔야 합니다.

추가로 나사의 뾰족한 끝부분을 니퍼로 잘라 뭉뚝하여 사용해도 목재갈라짐을 막을 수 있어요.

728x90
반응형

댓글